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년 최저 임금 시간당 1만 320원, 17년만에 노사협의로 결정

by 뉴스 이슈 정보 큐레이션 2025. 8. 7.

2025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320원으로 결정됐습니다.

 

이는 2024년보다 2.5%(250원) 오른 금액이며, 월 환산액(주 40시간 기준, 유급 주휴 포함)은 215만640원입니다.


가장 주목할 점은 이번 결정이 17년 만에 노사 합의로 이뤄졌다는 사실입니다.

2026년 최저시급 1만320원
2026년 최저시급 1만320원

1. 2025년 최저임금, 어떤 과정을 거쳐 확정됐나?

2024년 7월, 최저임금위원회는 치열한 논의 끝에 근로자·사용자 대표가 모두 참석한 가운데 최저임금을 의결했습니다.

 

표결 결과는 사용자 위원 9명과 근로자 위원 8명의 찬성, 정부 공익위원 1명의 기권이었습니다.


이번 합의는 2008년 이후 17년 만에 노·사 대표가 모두 찬성표를 던진 사례이며, 그만큼 사회적 대타협의 결과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2. 최저임금, 얼마나 오르고 변하는가?

① 2024년 시간당 1만70원 → 2025년 1만320원(250원 인상, 2.5%)

 

② 월 환산액(주 40시간+유급 주휴수당 적용) 기준 2,150,640원

 

③ 근로자 378만 명(전체 임금근로자의 15%)에게 직접 영향

 

④ 1997년 최저임금제 도입 이래 “처음 1만 원대”를 넘어섬

 

3. 이번 합의가 갖는 의미

① 사회적 대립 완화 :
최근 수년간 노사 간 극한 대립으로 상생의 토대가 약해진 상황에서, 서로 한 걸음씩 양보한 합의라는 점이 큰 의미입니다.

 

② 예측성과 안정성 제고 :
인상률 2.5%는 최근 물가상승과 경제여건, 소상공인·자영업자 부담, 청년 일자리 시장 등을 두루 감안한 ‘현실적 인상’으로 평가받습니다.

 

③ 청년·저임금 근로자 보호 :
최저임금 인상은 MZ세대, 사회초년생, 아르바이트생에게 직접적인 임금 상승 효과를 제공합니다.

 

4. 근로자·사업자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① 근로자 :
2025년부터 새로운 최저임금이 적용되니, 근로계약서와 임금명세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임금이 최저임금에 미치지 않을 경우 고용노동부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② 사업주 :
주 40시간 기준 월급 산정, 주휴수당·연장수당 등 각종 수당 지급 기준을 사전에 꼼꼼히 점검해야 합니다. 임금 체계를 미리 검토하고, 인상분 반영 시 경영 내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5. 자주 묻는 질문(FAQ)

Q. 주휴수당이란 무엇인가요?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가 소정근로일을 다 채우면, 유급으로 하루치 임금이 추가로 지급되는 제도입니다. 최저임금 월 환산액엔 이미 주휴수당이 포함됩니다.

 

Q. 모든 업종·연령에 똑같이 적용되나요?

원칙적으로 전 업종 동일 적용입니다. 다만 국가경제, 업종별 특수 사유가 있을 때 최저임금 분리 적용이 제한적으로 논의될 수 있습니다.

 

Q. 임금을 적게 받으면 어떻게 하나요?

고용노동부(1350) 또는 온라인 ‘최저임금 상담센터’에 익명 신고가 가능합니다.

 

Q. 2026년 이후 인상률 전망은?

경기, 물가, 고용여건에 따라 매년 재논의됩니다.

 

6. 2030·MZ세대,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

2025년 최저임금 인상은 물가·고용시장 등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줄 것입니다.

 

특히 청년, 사회초년생, 서비스 직종 근로자의 현실 소득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한편, 합리적인 임금 설계와 공정한 노사관계 문화 확립이 경제 전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입니다.